다시 보신각종을 타종하여 개천절을 경축하자!

다시 보신각종을 타종하여 개천절을 경축하자!

[전문] 김선희 처장, ‘개천절 국경일의 경축행사 정상화 촉구’에서 밝혀

▲ 22일 “개천절 국경일의 경축행사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에서 김선희 서울국학원 사무처장이 발표하고 있다(사진=강만금 기자)


사단법인 국학원(원장대행 장영주)은 현정회(사무총장 이건봉), 인성회복국민운동본부(총재 이수성) 등과 공동으로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세종대왕상 앞에서 ‘개천절 국경일의 경축행사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회견에는 우리역사바로알기시민연대(대표 이성민) 등 33개 민족․사회단체가 함께했다.

주최 측은 ▲개천절 정부행사에 대통령 참석,  ▲개천절 국가유공자 포상 실시,  ▲보신각종 타종 재개,  ▲한민족 나이 찾기-단기연호 병기추진,  ▲개천절을 대국민 화합과 인성회복의 국민축제 추진 등을 촉구했다. 또한 국가의 원수이자 국민의 대표로서 대통령의 개천절 정부행사  참석이 헌법상 책무임을 밝히는 헌법청원도 제기했다.

이날 김선희 서울국학원 사무처장이 ‘다시 보신각종을 타종하여 개천절을 경축하자!’라고 발표했다.

[전문]

다시 보신각종을 타종하여 개천절을 경축하자!


개천절(開天節)은 건국시조인 단군 왕검께서 홍익인간의 큰 뜻을 펼치고자 지금으로부터 4347년 전 음력 10월 3일 우리민족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을 건국하신 날을 경축하하는 한민족의 생일입니다.

예전에 정부는 개천절을 맞아 전 국민이 참여하는 경축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개천절 정오 보신각 타종식을 갖고 오후에는 송파구 석촌동 서울 놀이마당에서 경축문화예술 축제를 벌였습니다.

1993년까지만 해도 개천절 정오에는 서울시장이 보신각에서 서른세 번의 경축 타종식을 거행하여왔으나, 그 이후부터 슬그머니 타종식을 거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에도 삼일절, 광복절에는 보신각 경축 타종식을 거행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개천절에도 보신각 경축 타종식을 복원시켜 거행하여야 합니다. 그리하여 서울시민은 물론 전 국민들에게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와 문화의 중요성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서기 2014(단기 4347)년 9월 22일
서울국학원 사무처장 김선희

정리. 윤한주 기자 kaebin@lycos.co.kr

사진. 강만금 기자 sierra_leon@live.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