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사를 하면 왜 간질발작이 억제되는지 그 이유가 밝혀졌다.
이번에 하버드 의대 연구진과 다나-파버 암 연구소는 케톤생성 식이요법이 간질발작억제에 효과적인 이유가 뇌세포 신진대사 조정 단백질과 관련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쥐 실험에서 세포사 단백질의 BCL-2-관련 작용물질 조정이 뇌 신진대사를 바꿔, 간질발작이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가 간질에 대한 새로운 치료 방법 개발을 가져올 것이라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한 "신진대사와 간질의 관계는 마치 퍼즐과 같았다. 케톤생성 식이요법이 삶을 바꾼 아이들을 많이 만나 왔다. 약물이 듣지 않는 아이들에게 이 식이요법은 놀라울 정도로 효과적이다"고 전했다.
케톤생성 식이요법은(ketogenic Diet) 간질발작을 억제하는 케톤체가 체내에 과량 생산되도록 탄수화물은 적게, 지방을 많이 섭취하는 식이요법이다. 약물 요법에 내성 있는 간질발작도 감소시키는 이 방법이 왜 효과적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과학잡지 'Neuron'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