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수의과대학 강경선 교수팀이 성체줄기세포의 노화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후성기 유전적 조절 메커니즘에 의해 진행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연구 보고에 따라 최대 난점으로 꼽혀 온 인간의 노화에 대한 실마리가 풀리지 주목된다.
강경선 교수팀은 노화 조절이 선천적인 염색체 이상보다 염색체상의 ‘히스톤단백질의 아세틸화’와 관련있는 폴리콤브(poly comb) 단백질과 JMJD3단백질의 역할에 의해 이뤄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강 교수는 “줄기세포의 노화현상뿐 아니라 사람의 노화현상 자체를 규명할 근거를 찾았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고 말했다.
글. 브레인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