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동의 ‘뇌’ 편도체 특정부분 정상아보다 크다

자폐아동의 ‘뇌’ 편도체 특정부분 정상아보다 크다

브레인뉴스

브레인 25호
2011년 01월 03일 (월) 17:50
조회수10524
인쇄 링크복사 작게 크게
복사되었습니다.


아동 자폐증이 뇌의 핵심중추인 편도체 특정 부분의 크기와 관련 있음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서울대 류인균(46) 교수, 김지은(32) 박사 연구팀은 자폐아의 편도체 크기가 정상아보다 10%정도 증가돼 있으며, 이는 주로 측기저핵의 증가 때문인 것을 처음 확인하였다. 직경 2cm 정도의 편도체는 대인관계와 정서를 관장하는 뇌 구조체로 3개의 세부핵으로 구성돼 있다.

연구팀은 31명의 자폐아 아동과 20명의 정상 아동의 고해상도 MRI(자기공명영상장치) 뇌영상을 자체 개발한 편도체 세부구조 분석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편도체의 측기저핵 크기를 측정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생체 뇌에서의 편도체 세부구조핵의 문제가 자폐의 병태생리와 관련 있음을 세계 최초로 입증한 것으로 자폐의 조기진단 등을 위한 도구로서 사용될 가능성을 보였다. 지금까지는 편도체를 하나의 구조물로 보고, 편도체 부피 차이를 보고하거나 사체에서 세부분석을 실시하는 수준이었다.

이 연구는 자폐의 생물학적 소인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시해 앞으로 자폐에 대한 뇌 영역간의 연결성 및 유전 뇌영상 연구 분야 에서 새로운 자폐이론을 도출하는데 응용될 전망이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자폐장애의 유병률이 약 110명 중 1명일 정도로 그 빈도가 높아, 획기적으로 발전한 뇌영상 기술을 이용하여 그 원인에 대한 이해와 치료법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편도체 세부핵의 이상을 처음 밝힌 연구로 인정받아 신경과학 및 정신과 분야의 세계 최고 수준 권위지인 ‘일반정신의학회지(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최신호에 게재됐다.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뉴스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