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카더라 통신’ 악성루머 90% 이상 가려내는 기술 개발

SNS ‘카더라 통신’ 악성루머 90% 이상 가려내는 기술 개발



미국 대선 당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 후보가 무슬림이며 반기독교적 성향이 있고 미국 시민권을 부당 취득했다는 내용의 정치적 루머가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확산됐다. 또 영화배우 니콜 키드먼이 성전환 수술을 했으며 그녀가 양성애자라고 소문 역시 SNS를 전파되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상에서 떠도는 정보가 사실인지 거짓인지 구분할 수 있을까?

카이스트(KAIST) 문화기술대학원 차미영 교수 연구팀은 트위터 내에서 광범위하게 전파되는 정보의 진위 여부를 90%까지 구분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 차미영 교수

차 교수 연구팀은 2006년에서 2009년 사이 미국 트위터에서 광범위하게 전파된 100개 이상의 사례를 조사해 루머의 특성을 분석했다. 수집된 자료는 정치·IT·건강·연예인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90%의 정확도로 루머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특히 특정 인물이나 기관의 비방이나 욕설이 포함된 루머의 경우 더욱 높은 정확도로 루머 여부의 판단이 가능했다.

악성 루머에는 ‘아니다’, ‘사실일지는 모르겠지만’, ‘확실치는 않지만’, ‘내 생각에는’, ‘잘 기억나진 않지만’ 등의 정보의 진위 여부를 의심·부정·유추하는 심리학적 과정과 연관된 단어가 사용되었다. 또한 일반 정보는 친구관계를 통해 전파되지만 루머의 경우 모르는 사람 사이에서 시작돼 유명인에게로 전파되어 확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연예인이나 정치인과 관련된 루머에서 자주 관찰됐다. 마지막으로 일반 정보는 한 번의 광범위한 전파 이후 미디어 내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지만, 루머는 수년간의 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언급되었다.

▲ 각 주제 별로 관련 내용을 트위터 내에서 언급한 수. 루머의 경우 일반적인 정보가 한 번의 광범위한 전파 후 거의 퍼지지 않는 것과 달리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차미영 교수는 “루머 전파 극초기에 해당 정보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아직 어렵지만, 일정시간 경과 혹은 정보확산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향후 인터넷 루머의 특성과 규제에 도움이 되는 루머 구분 기술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해 12월 미국 텍사스주에서 열린 데이터마이닝 분야의 최고 학술대회인 IEEE 데이터마이닝 국제 회의(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에서 발표됐다.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 ㅣ자료. 카이스트 제공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