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할 때 분비되는 단백질, 노화로 약해진 근육과 뼈 되살린다

운동할 때 분비되는 단백질, 노화로 약해진 근육과 뼈 되살린다

노화되면 감소, 운동하면 분비되어 근골격 노화를 막는 마이오카인 CLCF1 발굴 및 기능 규명

나이가 들면 근육과 뼈가 점점 약해지고, 움직임도 둔해진다. 하지만 규칙적인 운동은 이러한 노화 현상을 늦추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약해지는 근육과 뼈 건강에 운동이 필수적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권석윤, 이하 생명연) 노화융합연구단 양용열 박사 연구팀과 전남대학교 김낙성 교수 연구팀은 운동의 효과를 뒷받침하는 특별한 단백질인 CLCF1(cardiotrophin-like cytokine factor 1)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이 운동 중에 근육에서 분비되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근골격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근육은 운동을 하면 마이오카인(Myokine)이라는 다양한 물질을 분비한다. 이 마이오카인들은 혈액을 타고 온몸을 돌며 전신 건강 유지와 노화 억제에 기여한다. 마이오카인 분비가 늘어나는 운동은 특정 질환 예방과 치료에도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이에 새로운 마이오카인을 찾거나 마이오카인의 기능을 밝히려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연구진은 먼저 젊은 사람들과 나이든 사람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운동을 시킨 뒤 혈액 속 ‘CLCF1’ 단백질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분석했다. 놀랍게도 젊은 사람은 단 한 번의 운동만으로도 단백질이 뚜렷하게 증가한 반면, 노인은 12주 이상 꾸준히 운동을 해야만 다시 증가했다. 연구팀은 다음으로 노화된 쥐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사람처럼 나이가 많은 쥐에게 ‘CLCF1’을 주사하자 근육의 힘이 세지고 뼈의 밀도도 높아진 반면, ‘CLCF1’의 작용을 억제하자 운동을 해도 별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이 단백질이 있어야 운동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 연구 결과 요약 모식도 [사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번 연구를 통해 ‘CLCF1’이 근육 안의 세포 에너지 공장이라 불리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뼈세포에서는 뼈를 녹이는 파골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며, 반대로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나이가 들수록 근골격 노화가 일어나고, 운동의 효과를 내기 위한 기준도 달라지는 이유가 몸 속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변화 때문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처음 밝혀낸 것이다.

연구책임자인 양용열 박사는 “이번 연구는 왜 나이가 들수록 운동 효과가 떨어지는지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를 밝혀낸 것으로 건강한 노화를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의 토대가 될 것이다”라며, “특히 이번 발견은 노인에서 흔히 나타나는 근감소증과 골다공증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과학저널인 Nature Communications(IF 14.7) 2025년 5월 22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되었으며, 본 연구는 과기정통부 개인기초연구사업,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사업,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사업, 생명연 주요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글. 우정남 기자 insight1592@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