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와 여당 간의 대립이 점입가경을 이루고 있다. 지난 25일 박근혜 대통령은 법률과 어긋난 행정입법의 수정·변경을 요구하는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의사를 밝혔다. 정부의 행정을 국회가 일일이 간섭하겠다는 것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어 박 대통령은 국회법에 합의한 유승민 원내대표를 정면으로 비난했다. “자기의 정치 철학과 정치 논리에 정치를 이용한 사람”이라고 하면서 “당선된 후에 신뢰를 어기는 배신의 정치는 반드시 국민이 심판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헌법에서 보장된 권한이다. 그러나 박대통령의 여당 대표부를 향한 인신공격성 발언은 도를 넘어섰다.
만약 유승민 원내대표가 당리당략에 따라 국회법 개정안을 합의했다 하더라도 국회법 개정안은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에서 합의된 결과물이다. 이를 몰아세워 한 정치인과 국회를 전면 부인하는 대통령의 발언은 입법부의 권한, 여당 지도부의 권한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의문을 갖게 한다.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 공감할 수 없다는 국민들의 여론도 높다.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이후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과가 이어진 후에도 청와대는 강경 입장을 철수하지 않고 있다. 이를 필두로 친박계는 가열차게 유승민 사퇴 공세를 높였고, 새누리당 최고위원들도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조심스레 밝히고 있다.
정부와 여당 간의 권력 다툼에 더 불을 붙이는 것은 야당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박근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쿠데타’ ‘유신독재’ 로 비판하며 국회 일정을 전면 보이콧했다. 경제 ·민생 입법이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야당의 휴업 선언은 국민들에게 더욱 실망을 안겨주고 있다.
정부와 여야 정치인들이 당쟁에 몰두하는 가운에 국민들의 속은 점점 타들어가고 있다. 메르스 사태는 아직 잠들지 않았다. 게다가 메르스로 인한 경기 위축으로 경제는 2% 저성장으로 추락했다. 경제활성화와 우리 생활에 직결된 법안들은 여전히 국회에 발목이 잡힌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 자기들끼리 힘겨루기를 하고 있으니 정부와 여당은 과연 국민들이 안중에 있는 것인가.
정치지도자는 나 이전에 국민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정부와 여야는 경제난, 취업난, 질병대란으로 숨을 헐떡이고 있는 국민을 생각해 하루 빨리 정신을 차리고 민생 수습에 나서야 한다. 진정한 권력은 정쟁이 아닌 국민에게서 나온다. 이대로 간다면 어느 누가 패권을 잡더라도 결코 국민에게 환영받지 못할 것이다. 국민은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국민을 안심시킬 진정한 지도자를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