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학원 제166회 국민강좌, 11일 서울시청 시민청서 개최
사단법인 국학원(원장 권은미)은 오는 11일 오후 6시30분 서울시청 시민청 지하2층 바스락홀(중구 세종대로 110)에서 전원철 변호사를 초청하여 "고구려-발해인 칭기스 칸"을 주제로 제166회 국민강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아이오와대 법학박사이자 중앙아시아 및 북방민족 사학가인 전원철 박사는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했으며 유엔난민기구 체첸전쟁 현장주재관, 외무부 유엔국제인권사회과 유네스코 자문관 등을 지냈다.
전 박사는 1240년 출간된 《몽골비사》를 연구한 결과 몽골 칭기즈 칸의 직계 시조는 발해 고왕(高王) 대조영의 아우인 반얀군왕 대야발이라고 밝혔다. 칭기즈 칸은 대야발의 19대 손이라는 것. 칭기즈 칸이라는 왕호는 발해 고왕 대조영과 그 아버지 걸걸중상 등의 호칭이었던 '진국왕(震國王)' 또는 진국공의 옛 소리인 '텡기즈 콘(Tenggiz khon-팅기즈 칸-팅궤트 칸)에서 나온 것이다. 이는 곧 '세계 정복자' 칭기즈 칸은 자신의 이름과 칭호를 통해 자신이 고구려 대무신왕의 후예이자, 발해국왕의 후손이라고 밝히고 자처한 것이다.
전 박사는 몽골이라는 명칭도 고구려-말갈어로 "말(몰)키우는 마을"을 뜻하는 "말골(馬忽)/몰 고을'이라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테무진(대무신), 칭기 칸(진국 왕), 몽골(말골)이 바로 그가 고구려-발해인의 후손임을 극명히 보여준다.
전 박사는 "고구려와 발해, 고려 그리고 중국의 금나라, 원나라, 청나라는 한 가문으로 주몽의 후손들”이라며 “역사를 볼 때 지금의 나라나 영토가 아니라 민족의 활동 범위를 가지고 역사를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국학원 관계자는 “우리의 잃어버린 역사 중 고구려와 발해의 이어진 역사의 뿌리로서 칭기즈 칸의 역사를 재조명하는 뜻 깊은 역사가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참가비: 무료
문의: 02-722-1785
글. 김민석 인턴기자 arisoo990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