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함에 빠지다

안중근 콤플렉스 힐링 17편

▲ 홍범도장군의 의병부대인 포연대(捕捐隊)가 조직되었고, 당시에 의병은 화승총火繩銃으로 무장했고, 4인1조로 사격하였다. 일제가 1908년 9월에는 ‘총포 및 화약류 단속법’을 공포했고 총포류를 압수하였다.

나는 이 대목을 읽으면서 동학당들의 일부가 제폭구민除暴救民의 거병이념과 거리가 먼 도둑의 무리로 전락한 점에 애석함을 금할 수 없었다. 그들은 싸움이 졸렬했고 방비도 허술했다.    
                                                       
이때 안중근은 아버지가 일으킨 의병부대에 참가하여 침입하는 난당을 사살하는 등 크게 활약하였다. 그때 전리품戰利品으로 노획한 군량미 1천여 포가 후일에 말썽이 되었다.
 
1895년 여름이 되자, 탁지부대신度支部大臣 어윤중魚允中과 전 선혜당상宣惠堂上 민영준閔泳駿이 군량미 반환을 요구해 온 것이다. 절반은 어윤중의 소유이고, 나머지 절반은 민영준의 농작물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안태훈의 생각은 달랐다. 그것은 동학당의 진중에 있었던 것으로 반환해야 할 의무가 없다는 요지의 답변서를 보냈다.
 
“어魚∙민閔 양씨의 쌀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것과 다릅니다. 그것은 동학의 진중에 있었던 것으로 안 등이 노획한 것이니 반환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 답변서 제출로 후일에 어∙민 양씨로부터 모함을 당하게 되었다. 후일에 전 판서判書 김종한金宗漢으로부터, 
 
“지금 탁지부대신 어윤중과 민영준 양인은 곡포穀包에 대하여 황제폐하에게 상주했지만, 그 내용은 안모가 국고금을 납부하지 않고 손에 넣어 도식盜食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을 시켜 탐지하도록 했는데, 그 미곡으로 수천의 병력을 키워 바로 반역할 음모를 획책하고 있습니다.”

하고 모함했다는 내용의 서신이 왔다. 태훈은 직접 상경하여 법관에 호소하여, 법부法部가 3심 재판을 하였지만 결정을 심의하지 않았다.

“안모는 도적이 아니고, 동학당이 도둑입니다. 스스로 의병을 일으켜 거병한 것이고, 도적은 동학당입니다. 국가에 일대공신一大功臣입니다. 그의 공훈을 표창해야 합니다. 다른 부당한 말을 믿고 모함에 빠져서는 아니 됩니다.”
 
김종한이 변명해 주었지만 정부는 그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당시 『조선왕조실록』은 안태훈 사건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안태훈安泰勳은 청계동淸溪洞 와주窩主라는 이름을 가진 자로서 황해도의 두목이라는 지목을 받고 있는데 아직도 체포하지 못하고 있으니 끝내 관대히 용서하기는 어렵습니다. 장사호는 법부法部에서 법에 따라 엄히 다스리게 하고  안태훈도 법부法部에서 기필코 체포하여 일체 엄히 다스리게 해야 할 것입니다.

조병길趙秉吉 등 11명은 다음 가는 법에 적용해야 마땅할 것이고, 김병호金炳浩 등 7명은 별도로 엄히 다스려야 마땅할 것이며, 황두성黃斗星 등 7명은 마땅히 징계하여야 할 것입니다. 김창근金昌根 등 10명이 관청에 항거하고 백성들에게 포학하게 한 죄상은 군郡의 보고와 백성들이 올린 글에 여러 번 올랐습니다. 최제우崔濟愚 등 20명은 모두 이미 멀리 달아나 버렸습니다. 본도의 재판소裁判所로 하여금 특별히 기찰譏察하여 체포하고 죄에 따라 참작하여 처리하도록 할 것입니다.

이른바 홍 교사洪敎師라는 자는 프랑스 사람인데 청계동淸溪洞에서 살고 있습니다. 8, 9개 군읍郡邑이 모두 그의 소굴로 되고 6, 7명의 교사敎士가 그의 우익羽翼이 되고 있습니다. 전도傳道를 칭탁하여 인연을 맺고 폐단이 자라나며 행정에 간여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소송을 스스로 재판하고 손을 묶고 발에 형틀을 채워 매달거나 무릎을 꿇리는 형벌을 평민에게 참람되이 시행했습니다. 이는 천하의 법률을 남용하는 것일 뿐 아니라 양국 간의 조약에도 실려 있지 않는 일입니다. 또 곽 교사郭敎士라는 자는 그 못된 짓을 모방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만약 그대로 두면 우환이 생길까 두렵습니다. 외부外部로 하여금 프랑스 공사관公使館에 공문을 보내 두 사람을 잡아다 조사하고 그 나라의 법의 전례에 따라 심리하고 판결하게 하는 것이 진실로 사의事宜에 합당할 것입니다.

연로 수령守令들의 치적 평가 같은 데에 이르러서도 내부로 하여금 주품奏稟하게 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고종황제가 윤허하였다.

어윤중은 재판에 나가지 않았다. 친러파의 세력이 강해져 1896년 고종이 친일파 몰래 러시아 공사관에 옮겨가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사건을 아관파천俄館播遷이라 하였다.

이 사건으로 친일파 김홍집 등이 살해당했다. 어윤중은 친일파가 아니었으나, 지레 겁을 먹고 고향으로 몸을 피하기 위하여 경기도 용인에 도착했을 때, 하필 이전에 산송山訟 문제로 다툰 바 있는 피해 당사자 정원로 등에게 원한을 샀는데, 백성들이 어윤중을 습격하였다. 어윤중은 정원로의 머슴이 던진 돌에 맞아 죽었다.
 
혼자 남은 민영준은 안태훈에게 위해를 가하려 하였다. 정부가 안태훈을 체포하려 했으므로 몇 달 동안 정부에서 좋게 보지 않는 천주교 교당에 피신하였다. 안태훈은 이 동안 강론을 듣고, 성경을 읽고, 그리스도교에 입교하였다. 그 후 고향으로 돌아왔다.

“나에게 씌워진 나라 반역자란 굴레를 벗겨 주게.”
 
안태훈의 영이 보름달 무당에게 말하였다.
 
“벗겨 드리겠습니다.”
 
보름달 무당이 내게 말하였다. 그러나 안태훈에게 말한 것이었다. 보름달 무당이 청배한 천안 무당은 안태훈에게 씌워진 살과 고를 풀어주려고 춤을 추며 사설을 읊었다.

“안 선생을 내가 보니 나라 망하게 한 관귀官鬼가 씌여 있구려. 내가 관귀를 벗겨주면 되겠소?”
 
느닷없이 보름달 무당이 망자에게 한마디 한다.
 
“내게서 관귀를 벗겨 주시오.”
“살풀이와 고풀이를 해야 해.”
“해 주시구려.”
“그렇게 하십시다.”

보름달 무당이 천천히 흐느적거리듯 몸놀림을 하더니 딱 멈추어 선다. 고도의 집중력이 생긴다. 그가 기를 모아 확 뿌린다. 망자가 휘청거린다. 망자를 그물처럼 감싸고 있던 귀기가 걸려든 것이다.
 
그의 몸이 느리게 부채질을 하듯 흐느적거린다. 그러다가 멈추고 망자를 노려본다. 재빨리 맴돌고 팔을 높이 뒤로 들어 힘차게 뿌린다. 그러자 망자에게 붙은 관귀가 떨어져 나가고 망자의 영은 앞으로 쓰러진다. 보름달 무당이 수건을 떨어뜨렸다가 줍는다. 그의 이 동작이 망자를 일으켜 세운다.
 
“이제 시작이야.”
 
보름달 무당이 가볍게 말한다. 차가운 기운이 망자에게서 빠져나가기 시작한다.

정월이라 대보름날 만월살 막아주고
이월이라 한식날은 한식살 막아주고
삼월이라 삼짓날은 연자살 막아주고
사월이라 초파일은 관청살 막아주고
오월이라 단오날은 주천살 막아주고
유월이라 유둣날은 유옥간장 막아요
칠월이라 칠석날은 오작교烏鵲橋 머리를 막아주고
팔월이라 보름날은 집안 가신家神을 모시고
구월이라 구일날은 구일제九日祭를 모시자
동지섣달 서안풍에 망고살亡姑煞을 다 막아주자
막아주자 막아주자 화재살禍災煞을 막아주자
막아주자 막아주자 관재살官災煞을 막아주자
막아주자 막아주자 손재살損財煞을 막아주자
일년하고는 열두달 가연하고는 열석달
삼백하고는 육십일 하루같이 넘어가소
에~ 그 집 좋다 에~ 그 집 좋다 에루화 신아, 신아

 
살풀이가 끝나고 이어서 고풀이로 들어갔다. 고는 심리학적으로 말하면 콤플렉스이다. 역사를 따져 올라가면 인간이 마고에게 항명하여 일으킨 오미五味의 반란, 오색五色의 반란, 오토五土의 반란에서 시작되었다. 반란으로 마고를 묶어 버린 것이 고이다. 맛에서는 쓴맛이다. 그래서 마고를 뜻하는 고姑라고 하거나 마고에게서 쫓겨나 인간이 당하게 된 고苦라고 한다. 姑는 마고가 인간에게 당한다는 뜻이고, 苦는 인간이 마고에게 당한다는 뜻이다. 이들 고는 인간들이 가지고 있는 집단무의식 안에 들어있는 고이다. 인간이 고를 향해 가는 길을 저승길이라 한다. 인간은 죽으면 그의 영혼이 저승길로 들어서 그가 가지고 있는 원시元始 집단무의식인 원시 유전인자 안으로 들어가서 안착한다.

불쌍한 망자여 어느 苦에 맺었는가 성주고에 맺었는가 칠성고에 맺었는가
지고에 맺었는가
인고에 맺었는가 어느 고에 맺힌 고든 설서리나 풀어보세 성주고에 맺었으면 성주님이 감동하사 설서리나 풀어주실 것이요 칠성고에 맺혔으면 칠성님께서 풀어주실 것이요
지고에 맺혔으면 지신님이 풀어주실 것이요
인고에 맺혔으면 왕검님이 풀어주실 것이니 

보름달 무당이 고풀이의 서두를 사설하고 나서 마고의 고를 풀기 시작한다.

묶어라 묶어라
마고대신麻姑大神을 묶어라
고를 다섯 개를 묶으면 오고五苦가 되니
오고를 풀어내면
마고대신이 풀리리라
그러면 마고대신이 네게 와서
누군가 너를 묶은 인고人苦를 풀어 주리라  
너는 인간의 온갖 풍상을 다 겪다가
고난의 길로 들어섰으니
이 길은 저승길이라
마고대신이 네가 지은 고를 풀어주지 않으면
하늘에 지은 천고天苦
땅에 지은 지고地苦
사람에 지은 인고
어떤 고도 풀리지 않을 것이니
인간들이여 명심하라
온갖 고가 다 풀려야
저승길이 닦여
마고대신 앞에 가서 설 수 있을 것이니
풀어라 풀어라
마고대신을 풀어라
마고대신을 풀으면
마고대신이 너를 풀어주리라
 
누군가 말했다. 시신을 묶는 것을 고라고. 또한 이승에서 풀지 못한 원한을 고라고. 그래서 망자가 당하는 괴로움이 고가 된다고.
 
보름달 무당이 마고대신 고풀이 사설을 읊으며 고가 줄줄이 이어진 한 끝을 잡고 위로 올렸다가 아래로 내리치며 당겨 풀어내자 고가 풀리기 시작하였다. 나는 문득 마고 콤플렉스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마고의 콤플렉스를 내가 풀어주면 마고도 내가 진 마고 콤플렉스를 풀어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었다.
 
보름달 무당은 고가 다 풀린 베를 한 아름 들어 올려 망자에게 보여주었다. 고가 다 풀렸다는 뜻으로 안태훈에게 보여준 것이다. 
 
“보름달, 주빈을 불러 주게.”
 
노산 선생이 말하였다. 그러자, 내 몸에 들어와 있던 영이 사라지고 다른 영이 나타나는 느낌이 들었다. 그것은 마치 소변을 보기 시작할 때 순간적으로 느끼는 몸 떨림이나 몸서리치는 느낌과 유사한 느낌이었다. 그것은 내 몸의 깊숙한 곳에서 무엇인가가 나오는 느낌과 같은 것이었다.
 
“지금 내가 거리검 선생의 몸 안에서 영 한 분이 밖으로 나오도록 해 드렸습니다. 그분이 말하게 해 보세요,”
 
보름달 무당이 내게 말하였다.
 
“나는 안응칠이야. 안자 태자 훈자 성함을 가진 분의 아들이지.”
 
내가 소년의 목소리로 말하고 있었다.
 
“안응칠이가 누구요?”
 
내가 물었다.
 
“안중근이지.”
“그런데 왜 내게 안응칠로 나타난 것입니까?”
“사실 그대에게 청이 있다. 내청을 들어주면 안중근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안응칠이 심각한 음성으로 말했다.
 
“무엇인지 말씀하시오.”
“내가 어려서부터 사냥을 좋아했기에 새와 짐승을 사냥하였소. 수륙제水陸祭를 지내어 내가 사냥한 새와 짐승의 영을 위로해 주시오. 그러면 내가 당신의 청을 들어주겠소.”
 
나는 안응칠이 하는 말을 그대로 내입을 통하여 뱉어내었다.
 
“수륙제 지내기를 원하시니 해 드려야지요.”
 
보름달 무당이 말하였다. 나는 수륙제에 차려야 할 제물이 걱정이 되었다. 돈이 없었던 것이다. 수륙제는 보름달 무당의 집 앞을 흘러가는 냇가에서 행하기로 하였다. 내가 걱정했던 제물은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었다. 작은 상 하나에 올려놓을 만큼만 차렸기 때문이다.
 
보름달 무당은 안응칠이 쏘아 죽인 짐승의 영을 하나하나 불러서 흐르는 물을 떠서 씻겨 주었다. 처음엔 노루가 나왔고, 다음엔 토끼가 나왔고, 새들이 나왔다. 그들도 모두 흐르는 물을 떠서 씻겨주자 답답했던 나의 가슴이 뚫리는 느낌이 들었다. 그들은 모두 내 주변에서 날개를 달고 떠나가듯이 떠나갔다.
 
“이제 당신이 잡은 짐승들이 당신을 괴롭히지 않을 것입니다. 현신이 가능할 것입니다.”
 
보름달 무당이 말했다. 안응칠이 그가 가지고 다니던 사냥총을 내게 주었다. 그것은 일제 구식 단발 엽총이었다. 나는 그 총을 받아서 제물을 차린 상 앞에 놓았다. 그러자 총이 사라졌고 안응칠도 사라졌다. 보름달 무당은 이번에도 사라진 짐승들의 살을 풀어주고 고를 풀어 주었다.

“내가 이왕 그대가 불러 당신 앞에 나왔으니 청을 하나 더 들어주시오.”
 
다시 나타난 안응칠이 말하였다.
 
“말씀하세요. 내가 무슨 청인들 못 도와드리겠습니까?”
 
보름달 무당이 말하였다.(계속)

 

 
▲ 소설가 노중평

 
1985년 한국문인협회 ‘월간문학’에 단편소설 <정선아리랑>이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천지신명>, <사라진 역사 1만년>, <마고의 세계> 등 30여 권을 저술했다. 국가로부터 옥조근정훈장, 근정포장, 대통령 표창장 등을 받았다. 현재 한국문인협회원, 한민족단체연합 공동고문, 한민족원로회원으로 활동한다.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