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리한 디지털 세상의 불편한 진실

편리한 디지털 세상의 불편한 진실

머리를 쓰지 않는 똑똑한 바보들 디지털 치매 주의 발령

컴퓨터와 인터넷, 태블릿 PC와 스마트폰,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와 내비게이션 없이는 단 하루도 살아가기 어려운 세상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디지털 기기와 미디어들을 사용하면서 인간의 뇌가 어떻게 변하게 될지 생각해본 적 있는가?

인간이 장기간 과도하게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면 정신활동이 감소하고 기억력과 집중력도 떨어지는 등 뇌가 퇴화한다. 일명 디지털 치매를 겪게 된다.

‘디지털 치매’란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 때문에 뇌 기능이 손상되어 어느 순간부터 인지 기능을 상실하는 치매의 일종을 일컫는 말이다. 이 용어는 2004년 국립국어원의 신조어에 오를 정도로 이미 우리 사회에서 익숙한 단어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률이 10퍼센트에 이를 정도로(한국정보화진흥원 2011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디지털 기기 사용의 폐해가 심각한 우리나라에서 이 신종 증후군에 대해 의학적으로나 교육적으로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이런 상황 속에서 독일의 유명 뇌 연구가이자 『디지털 치매(북로드)』의 저자인 만프레드 슈피처 박사는 자신의 책 속에서 수많은 객관적 자료와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디지털 기기 사용의 치명적 위험을 경고함과 동시에 더 나아가서 디지털 치매의 실체에 대해서 이해를 돕고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예방할 수 방법들을 소개한다.

특히 저자는 책 속 여러 부분에 걸쳐 한국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우리나라의 디지털 치매 상황을 언급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우리는 현실적으로 디지털 세상을 떠나서 살 수는 없다. 책을 통해 디지털 기기를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지 또 그것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알아두면 도움이 될 것이다.

글. 신동일 기자/  kissmesdi@daum.net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