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해가는 의학기술과 넘쳐나는 건강정보와는 반대로 현대인들의 심인성 질환과 면역력 저하는 커져만 가고 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건강이란 것을 마치 낯선 타인처럼 대하고, 누군가에게 의존하려고만 하는 습관이 생긴 건 아닐런지요. 근본적인 건강의 열쇠는 다름 아닌 우리 몸 안에 갖고 있음에도 말이지요.
인간 뇌는 생명 현상의 유지가 근본 기능입니다. 생존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인간 뇌의 모든 활동에도 당연히 이를 유지하려는 무의식적이고도 자율적인 시스템이 다른 그 어떤 것보다 앞서 작용한다는 얘기입니다.
30여년간의 연구를 토대로 수많은 소화기관 질환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틀을 제공한 마이클 거슨(Michael Gershon) 교수는 자신의 저서 제목을 ‘The Second Brain(제2의 뇌)’라고 명시합니다.
식도에서 시작해 위, 소장, 대장에서 음식을 부수고 소화를 시키고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소화기 신경계는 특별하게도 뇌의 지시 없이 스스로 작동을 합니다. 실제 우리의 장에는 약 5억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해 장신경계(enteric nervous system)라고 부릅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인체에서 만들어지는 세로토닌의 95%가 소화기관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인데, 거슨 교수는 “우리 몸은 두뇌와 복뇌가 함께 작동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뱃속에는 대혼란이, 머릿속에는 대참사가 발생한다”고 밝히며 두뇌와 장기는 '미주신경'을 통해 긴말하게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장(腸) 건강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면역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 최고 면역학자 오쿠무라 고우는 "젊음과 건강은 나이가 아니라 면역력에 달려 있다"며 "인체 면역세포는 70%가 장에 있기 때문에 장 건강이 젊음의 척도"라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이번호 <브레인>에서는 ‘제2의 뇌를 깨워라’를 집중리포트 주제로 잡았습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건강의 기본은 ‘머리는 시원하고 아랫배는 따스하게’이지요. 하지만, 뇌를 깨우는 신체 움직임은 갈수록 적어지고, 머리를 많이 쓰는 현대인들의 장 건강상태는 떨어지고 인체 면역성은 낮아져만 갑니다. 그래서, ‘제2의 뇌’라고 불리는 장을 느끼고, 따스하게 하며, 생활 속에서도 손쉽게 할 수 있어 최근 현대인을 위한 건강법으로 주목받는 ‘배꼽힐링’을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오늘은 제 2의 뇌를 깨워보는 건 어떨까요?
글. 장래혁 《브레인》 편집장 editor@brainmedia.co.kr (www.humanbrai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