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시급 '6470원' 에 담긴 의미, '엉뚱한 사진관 for 대학로 6470展' 개최

최저시급 '6470원' 에 담긴 의미, '엉뚱한 사진관 for 대학로 6470展' 개최

서울문화재단, 27일~11월 12일까지 서울연극센터서 개최

최저시급 '6470원'으로 우리가 느낄 수 있는 삶의 행복은 얼만큼일까? 2013년 '대학로 연극 실태 조사'에 따르면 대학로를 찾는 관객들이 연극, 밥, 커피, 교통 등으로 지출하는 평균 금액은 약 3만 2천 원이다. 이 돈은 아르바이트로 생업을 이어가는 사람들에게는 5시간 노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금액이기도 하다. 

이처럼 '1시간의 노동'은 교환을 매개하는 척도이며, '시급'은 산술적으로 풀어낸 노동의 양적 규정으로 정한다. 이러한 최저시급 삶과 관련하여 20대부터 50대에 이르는 참여자 19명의 삶의 모습을 6470원이라는 숫자로 담은 전시회가 열린다.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주철환) 서울연극센터는 예술가와 시민이 사진으로 소통하는 <엉뚱한 사진관 for 대학로>의 결과 전시 '6470展'을 27일부터 내달 12일까지 센터 1층과 2층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메세나협회, 광학 전문기업 올림푸스한국이 후원한다.

▲ '엉뚱한 사진관 for 대학로 6470展' 포스터 <사진 출처=서울문화재단>


<엉뚱한 사진관>은 2015년 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시작됐다. 청년, 가족 이슈를 풀어낸 전시장에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였던 문재인 대통령이 참여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대학로로 배경을 옮긴 이번 프로젝트는 '동시대 사회 이슈'를 주제로 잡았으며 8월 공모를 통해 시각예술가 김현기(22), 신연식(26), 이나은(24)작가로 구성된 '아티스트 105호'팀을 선전했다. 이번 전시는 예술가이기 전에 평범한 20대의 눈으로 최저시급 '6470'이라는 숫자를 사진으로 풀어냈다.

아티스트 105호 대표인 김현기 씨는 "노동을 시간으로 환산했을 때 6470원으로 느낄 수 있는 삶의 행복은 터무니없이 작다"라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6470'원이 어떤 의미일까 생각해 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6470展'은 편의점, 홀서빙, 과외, 콜센터 등 50여 개의 다양한 아르바이트 경험과 세계지도, 가방, 월세, 학비 등 각자에게 의미 있는 지출의 결과물을 전시한다. 이외에 참여자들이 직접 밝히는 '나에게 6470원이란' 화보와 최저시급 6470원만큼의 물건 가치를 보여주는 '6470/N' 전시, 참여자들의 인터뷰로 구성된 '6470 다큐멘터리' 등도 준비됐다. 

또한,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마련되었다. 매 주말에는 관람객들이 직접 '나에게 6470원이란' 화보 촬영에 참여할 수 있는 '팝업 사진관'을 운영한다. '팝업 사진관'은 사전 신청 없이 현장에서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촬영된 사진은 현장에서 출력해 개인이 소장할 수 있다. 센터 1층에 있는 '마음약방' 자판기에서는 '마음약방-엉뚱한 사진관 <6470展> 스페셜 에디션'이라는 이름으로 마음 치유 선물 패키지가 전시 기간 중 한정 수량으로 제공된다. 

서울문화재단 주철환 대표이사는 "이번 전시는 청년 세대뿐 아니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노동과 노동 가치에 관한 전시"라며 "앞으로도 우리 시대가 담고 있는 지속적인 사회 이슈를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획 프로그램을 준비하겠다"라고 전했다.

27일 오후 5시에 시작되는 전시 오프닝에는 인디밴드 이재영의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서울문화재단 또는 서울연극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며 관람료는 무료다.


글. 황주연 기자 br-md@naver.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