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중독에 맞춤형 상담서비스

스마트폰 중독에 맞춤형 상담서비스

스마트쉼센터에서 중독 유형별 상담프로그램 제공

스마트폰 중독에 맞춤형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서병조)은 스마트폰 과다사용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을 위해 3월2일부터 전국 17개 스마트쉼센터(1599-0075)에서 스마트폰 중독 유형별로 맞춤형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스마트폰중독이란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 인해 스마트폰이 없을 때 초조, 불안해하고, 스마트폰을 점점 더 오래 사용하게 되며, 그로 인해 주변사람들과 갈등하거나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스마트폰중독 상담기관인 ‘스마트쉼센터’(구. 인터넷중독대응센터)에 근무하는 전문상담사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상담프로그램 사전 교육을 실시했다. 

 중독되는 콘텐츠가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스마트폰중독 유형을 게임,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성적자극물, 모바일툰(웹툰) 으로 분류하고 중독 유형에 최적화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스마트폰중독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은 전국 어디서나 1599-0075로 전화하면 전문화된 상담을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상세자료는 스마트쉼센터 홈페이지(www.iapc.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 중독 4가지 유형 상담 프로그램은 게임에서는 학교 등하교시 스마트폰 게임에 빠져든 청소년들을 위해 게임대신에 하루에  세 가지의 대안활동을 하자는 의미의 ‘삼시세게임’이 있다. SNS에서는 카톡방 등에서 일어나는 친구 간 오해, 문자로 인한 상처 등에 대처하는  방법을 같이 얘기하며 극복하자는 의미의 ‘투닥투닥 SNS극복기’가 있다. 또  성적자극물에 대한 생각을 공익광고를 만들어 성적자극물을 예방 및 극복하자는 의미의 ‘공감공광’, 모바일웹툰에서는  웹툰 과다몰입에 대한 찬반 토론으로 유무죄를 판결내리는 ‘모의법정’ 등이 있다.

이러한 맞춤형 프로그램은 청소년이 재미있는 활동과 토론을 통해서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문제를 인지하고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힘을 지니도록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글. 정유철 기자 npns@naver.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