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은 장애, 중학생은 외모, 고등학생은 학업성적 차별 심각하다 인식

초등학생은 장애, 중학생은 외모, 고등학생은 학업성적 차별 심각하다 인식

우리나라 초등학생은 장애에 따른 차별, 중학생은 외모, 고등학생은 학업성적에 따른 차별을 가장 심각한 것으로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원장 노혁)은 전국 초등학교(4학년~6학년), 중학교(1학년~3학년), 고등학교(1학년~3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총 10,4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 청소년 차별실태 연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우리 사회 차별 문제의 심각성(차별 유형별 평균점수)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우리 사회에서 학업성적(4점 척도 중 2.67), 외모 (2.67), 장애2.56) 학력/학벌(2.56)에 따른 차별 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차별문제는 장애(2.23), 외모(2.18), 학업성적(2.04) 순이었다. 중학생은 외모(2.76), 학업성적(2.75), 장애(2.26), 학력/학벌(2.64)가 뒤를 이었다. 대학 입시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는 고등학생의 경우 학업성적(3.08), 학력/학벌(2.98), 외모(2.95)를 주로 꼽았다.

▲ 청소년들의 차별 피해 실태(전체 응답자 기준, %)

이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학력·외모지상주의의 심각성을 청소년들도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청소년들의 차별 피해 경험 실태 조사에서는 학업성적, 나이, 성별, 외모 순으로 차별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의 17.9%가 학업성적에 따른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나이에 따른 차별(13.6%), 성별에 따른 차별(12.3%), 외모에 따른 차별(10.7%)보다 봎았다.   

특히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학업성적을 이유로 차별을 경험한 청소년의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초등학생의 경우 피해 경험자의 비율이 4.7%에 불과하나, 중·고등학생의 경우 해당 비율이 각각 18.3%, 27.5%로 증가했다. 고등학생 4명 가운데 적어도 1명은 학업성적을 이유로 차별을 당한 셈이다.

▲ 차별 피해에 대한 피해자들의 생각(피해 경험자 중, %)

피해 청소년 대다수는 자신의 피해 사실이 문제가 있다고 느끼고 있으나 피해 당시 또는 후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지는 않는다. 피해 청소년의 85.4%가 자신의 경험을 부당하고 불합리하게 생각했다. 하지만 피해 사실을 주변에 알려 도움을 청한 경우는 32.3%에 그쳤다.  나머지 67.7%는 자신의 피해 사실을 감추고 문제 해결을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았다. 

▲ 차별 경험 당시 피해자들의 반응(피해 경험자 중, %)

차별을 경험하는 당시에도 이에 적극적으로 대항한 피해 청소년의 비율은 22.2%에 불과하고,  인내, 무반응, 도피 등과 같은 소극적 방식으로 피해 상황에 대처한 경우는 75.4%에 달했다.  피해 청소년의 대다수가 자신의 피해 상황을 스스로 용인한 셈이다.

차별 피해 후 주변에 도움을 청한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찾은 상담 집단은 가족/친척, 친구/선후배, 학교 관계자 순으로 가족/친척. 친구/선후배에 의존 경향이 학교 관계자(학교 선생님, 학교 사회복지사, 상담 선생님)에 대한 의존 경항보다 3배 높았다.

하지만 피해 상담 후 문제 해결에 구장 도움이 되는 상담 집단은 학교 관계자로 나타났다. 학교 관계자 중 피해 학생에게 구체적인 대처 방법을 알려주거나 가해자에게 직접적인 조치를 취한 경우는 64.7%로 나타났다. 가족/친적은 53.7%, 친구/선후배는 42.2%에 그쳤다.

최정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청소년의 차별 피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교 관계자뿐만 아니라 가족/친적, 청소년 모두가 차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문제 발생 시 적극적으로 행동하려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글. 김민석 인턴 기자 arisoo9909@naver.com
자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