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교육 도입한 뉴욕 교육구 7, 뉴욕시에서 가장 혁신적인 교육구로 선정
뉴욕시, 1,800개 공립학교에 뇌교육 도입 후원 발표
한국의 뇌교육이 미국 공교육에 도입되어 그 성과를 알리는 뇌교육 컨퍼런스가 미국 뉴욕에서 개최되었다.
미국뇌교육협회는 지난 5월 7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시 퀸즈 포레스트힐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PS144에서 ‘파워브레인 포텐셜(Power Brain Potential) 뇌교육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뉴욕, 네바다, 애리조나, 뉴멕시코, 캘리포니아 등 초∙중∙고등학교 400여 개에 도입된 한국의 뇌교육 성과와 교육 내용을 알리기 위해 마련되었다.
▲ 뇌교육을 도입해 교육구 7을 뉴욕시에서 가장 혁신적인 교육구로 만든 엘리사 알바레즈 뉴욕시 장학관
특별 연사로 뇌교육의 창시자 이승헌 총장(글로벌사이버대)과 데이브 빌 미국뇌교육협회장, 엘리사 알바레즈 뉴욕시 장학관이 나섰다. 컨퍼런스에는 뉴욕시 장학관, 뉴욕시내 학교장, 교사 등 교육계 관계자와 학부모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뇌교육 컨퍼런스는 ▲학생들의 학업 동기와 창의력을 높이는 법 ▲학생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감정 조절 능력 향상하는 법 ▲학생들의 자신감을 고취하는 법 등 세 가지 주제로 진행되었다.
엘리사 알바레즈 뉴욕시 장학관은 “지난 2015년 가을부터 문제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뇌교육을 진행했다. 학생들의 사회성 향상에 놀라운 결과를 가져왔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내가 담당하고 있는 교육구 7이 뉴욕시에서 가장 혁신적인 교육구로 선정되었다”며 “교육구 7은 이제 뇌교육의 교육구로서 뇌교육을 전 학교에 보급하는데 앞장서고 있다”고 밝혔다.
▲ 이승헌 총장(글로벌사이버대, 국제뇌교육협회장)이 뇌교육 컨퍼런스에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이승헌 총장은 “뇌교육의 핵심은 감성개발과 인성회복에 있다”며 “앞으로의 교육은 검색만 하면 단 몇 초만에 얻을 수 있는 정보나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이 아니라,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찾고 잠재력을 실현하도록 돕는 교육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장은 교육의 핵심 목표를 ‘인성개발’에 둔 혁신적인 학교 모델로 한국에 설립한 벤자민인성영재학교와 학생들의 사례를 소개하여 참석자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데이브 빌 협회장은 “브롱스 PS1의 4학년과 퀸스 PS32의 2학년을 대상으로 뇌교육 수업을 매일 30분 간 도입한 결과 집중력, 감정 조절능력, 학습 능력이 2.5배 향상됐다. 애리조나 벡터 아트 스쿨에서는 뇌교육을 도입한 후, 학생들의 암기력이 5배, 정보 처리 능력이 4배 향상되었다”며 연구 결과를 발표해 큰 관심을 끌었다.
미국뇌교육협회는 컨퍼런스에 앞서 참가자들에게 뇌교육의 10개 커리큘럼 ▲집중력 ▲창의력 ▲암기력 ▲자존감 ▲스트레스 해소 ▲자녀교육법 ▲목표관리법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교실을 열었다.
▲ 뇌교육 컨퍼런스에 앞서 참가자들이 뇌교육의 10개 커리큘럼 체험교실에 참가해 뇌교육 수업을 받고 있다.
한편, 뉴욕 165개 공립학교에 뇌교육이 도입되고 있다. 공립학교 교사들이 직접 뇌교육 교사 과정을 수료하여 학생들에게 뇌교육을 가르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또한 뇌교육을 도입한 후 학생들의 학업능력과 사회성이 크게 향상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올해 3월 뉴욕시 교육감 카르멘 파리냐는 뉴욕시 1,800개 공립 학교에 뇌교육 도입을 후원한다고 발표하였다.
한국의 뇌교육은 미국 뉴욕시를 비롯하여 워싱턴 D.C., 샌프란시스코, 휴스턴, 로스앤젤레스 등 20여 개 도시에서 그 성과와 공로를 인정하여 '뇌교육의 날'을 지정, 선포한 바 있다.
▲ 뇌교육 컨퍼런스에는 뉴욕시 장학관, 뉴욕시내 학교장, 교사 등 교육계 관계자와 학부모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한편, 뇌교육은 종주국인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영국 캐나다 독일 아일랜드 등 전 세계 21개국에 도입되었고 계속 확산되고 있다. 특히, 엘살바도르, 시에라리온 등 제3세계 개발도상국에 보급된 뇌교육은 열악한 환경에서 눈부신 성과를 보이며 주목을 받고 있다.
뇌교육이란 체계적인 5단계 과정을 통해 두뇌 개발 및 인성 함양을 이끌어내는 전방위적인 교육법으로 이승헌 총장이 개발하였다. ▲스트레스 관리 ▲감정조절 ▲정서함양 ▲자신감 고취 ▲협동심 강화 ▲집중력 강화 등을 주제로 구성된 뇌교육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리더쉽 함양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다.
글. 강만금 기자 sierra_leon@live.com / 사진. 미국뇌교육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