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휴대전화 의존도, 부모 양육방식에 원인을 찾아야!”

“청소년 휴대전화 의존도, 부모 양육방식에 원인을 찾아야!”

홍예지 서울대 교수연구팀, 청소년과 휴대전화 관련 연구에서 밝혀


부모의 양육방식이 부정적일수록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고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홍예지 교수팀은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휴대전화 의존도 발달 궤적 및 자기조절 학습 간의 관계'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년 중학교 1학년 학생 1,953명이 중학교 3학년까지 매년 추적조사를 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자료를 사용했다.

부모의 양육방식을 측정하기 위해 '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의 6개 문항으로 나눴다. 이중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을 부정적 양육방식으로 분류한 뒤 이 문항에 대한 응답이 휴대전화 의존도와 자기조절 학습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비일관성은 '같은 일이라도 어떤 때는 야단을 치시고, 어떤 때는 안 치신다', 과잉기대는 '나에게 모든 면에서 남보다 잘해야 한다고 강조하신다', 과잉간섭은 '작은 일에도 이래라, 저래라, 간섭하신다'를 말한다

연구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과 휴대전화 의존도의 상관계수는 모두 '양(+)' 값으로 나타났다. 중1 때 휴대전화 의존도와 부정적 양육방식의 상관계수는 과잉기대가 0.15, 과잉간섭이 0.07, 비일관성이 0.06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자신에게 과도한 기대를 하거나 심한 간섭을 한다고 느낄수록 청소년들이 휴대전화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을수록 자기조절 학습능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1 때 휴대전화 의존도와 자기조절 학습능력 4개 하위 항목의 상관계수는 모두 '음(-)' 값이었다. 성취가치와의 상관계수는 -0.17, 목적지향은 -0.12, 행동통제능력은 -0.29, 학업시간 관리능력이 -0.06의 상관계수를 기록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게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 휴대전화 의존도를 28점 만점으로 계산했을 때 남학생은 중1 때 13.22, 중2 때 15.20, 중3 때 15.94로 13에서 15으로 점차 증가했다. 반면 여학생은 중1 때 이미 15.54를 기록하고 중2 때 17.18, 중3 때 17.83로 높아졌다. 이는 남성보다 관계 형성에 대한 욕구가 높은 여성이 휴대전화의존도에 취약하다는 선행연구를 뒷받침한다.

연구팀 관계자는 "자기조절 학습을 높이는 데 있어서 학생 개인의 역할 뿐 아니라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방식과 같은 적절한 양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36권 6호(2015)에 게재됐다.

글. 윤한주 기자 kaebin@lycos.co.kr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