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제 아이는 성격이 쾌활한 남자아이인데요. 담임 선생님께서 저희 아이가 수업 시간에 잠시도 가만있지 못하고 쓸데없는 질문을 해서 수업 진행이 어렵다고 합니다. 오전 시간에는 너무 산만해서 진정제 같은 약이라도 먹여서 학교에 보내는 게 어떠냐고 하는데요. 우리 아이의 이런 증상이 ADHD인지 궁금합니다. 혹시 이런 증상도 약물치료가 가능한가요?
일반적으로 ADHD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라고 합니다. 즉 주의 집중을 잘 못하고 과다 행동을 보이는 아동을 말합니다. 최근 이런 ADHD는 한 학급당 적어도 1명 정도는 있습니다. 학령기 아동에서 3~8%가 증상을 갖고 있고 남자 아이가 여자 아이보다 3배 정도 많습니다.
ADHD는 끊임없이 산만한 행동을 보이거나 친구가 하는 말에 충동적으로 반응하고 주의력이 결핍된 특징을 보입니다. 이런 특징을 다 가진 경우도 있고 어떤 부분이 두드러진 아이도 있습니다. ADHD는 학습장애, 틱장애, 조울증, 불안장애, 게임중독 등 다른 질병과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ADHD는 일반적으로 약물치료를 많이 합니다. 약을 먹으면 산만한 행동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약효가 끝나면 ADHD 증상이 다시 살아납니다. 그리고 아이가 많이 쳐진다거나 밥을 안 먹고 잠을 잘 안 자는 부작용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으로 일시적인 증상이 좋아질지는 모르지만, 장기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러면 왜 이런 증상이 생기는 걸까요. 확실하게 밝히지는 못했지만, 학자들이 가장 크게 말하고 있는 것은 전두엽의 미성숙에 관한 부분입니다. 전두엽은 뇌에서 보면 이마 쪽에 있는데, 집중을 유지하고 감정을 조절하고 계획을 세워서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전두엽은 성인이 되어야 완성되기 때문에 성인의 집중력과 아이의 집중력은 당연히 차이가 납니다. 그런데 ADHD 아이들은 일반 아이들보다 전두엽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집중이 더 어렵고 산만하고 감정의 기복을 심한 것입니다.
▲ 전두엽은 뇌에서 집중을 유지하고 감정을 조절하고 계획을 세워서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ADHD 아동은 전두엽의 기능이 일반 아동보다 약하다.
ADHD 아이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부모의 양육태도입니다. ADHD를 치료하려면 부모님이 안정적인 양육태도를 유지하면서 아이가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셔야 합니다. 가장 먼저 잔소리를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의 잔소리가 아이의 마음을 닫아버리게 합니다. 여러 가지 규칙보다는 한 가지 규칙을 정하고 가만히 눈을 마주 보면서 아이가 이해할 때까지 차근차근 반복적으로 얘기해주십시오.
그리고 아침에 일어나서 하루 일과를 습관화하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이고 계획적인 생활습관을 기르는 것이 필요합니다. ADHD 아이는 큰 그룹에서는 집중을 못하기 때문에 도움을 주실 때는 개별적으로 접근하시거나 소규모 그룹일 때 도움을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 하나 벌보다 칭찬을 5배 더 많이 해주십시오. ADHD 아이들은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잘 형성되지 않는데 이것은 짜릿한 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이라고 합니다. 칭찬을 적극적으로 해주면 쾌감을 주는 도파민 호르몬이 잘 분비되어 아이의 정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DHD는 가족의 영향도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어머니나 아버지가 산만하거나 충동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가 한 번 더 참고 심호흡을 하고 꾸중을 한다면 아이의 정서조절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의 멘탈헬스는 부모님의 멘탈헬스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조용한 ADHD를 주제로 이야기하겠습니다.
▲ '키즈 멘탈헬스' 강의를 진행하는 BR집중력클리닉 전열정 원장
[키즈 멘탈헬스 시리즈]
[1강] 야단쳐도 말 안 듣는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2강] 산만한 우리 아이 ADHD인 걸까요?
[3강] 조용한 우리아이가 ADHD 라고요?
[4강] 아이들의 불안장애에 대하여
[5강] 신경질이 부쩍 늘어난 우리 아이, 우울증일까요?
[6강] 게임 중독에서 벗어나려면
[7강] 반항장애에서 대하여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는 분은 인터넷에서 체인지TV(www.changetv.kr)를 시청하거나 구글 혹은 앱스토어에서 ‘에브리온TV’ 앱을 다운받아 채널 111번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정리. 김보숙 기자 bbosook70@hanmail.net | 자료. 체인지TV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