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천 년 고도 경주 속에 오롯이 간직된 한민족 고유의 천손문화를 찾는다!
지난 25~26일, 경주에서는 아주 특별한 문화탐방행사가 있었다.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의 천손문화연구회가 주최한 '경주 선도문화탐방'이 바로 그것. 선도문화는 한민족 전통의 '하늘문화(제천문화)'로 신라 삼국통일의 주역인 화랑도, 고구려의 조의선인 등이 이 선도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한낮 기온이 30도를 넘나들었지만, 한민족 고유의 선도문화를 향한 천손문화연구회원들의 뜨거운 열정을 가로막을 수는 없었다. 그 현장을 기자가 동행 취재하였다.
※ 천손문화연구회 경주 선도문화탐방 기획기사
[1편] 신라건국의 비밀 - 오릉, 알영정, 숭덕전
[2편] 신라의 불교 수용과 한국 선도의 쇠락 - 천경림 흥륜사, 무열왕릉, 서악리 고분군
[3편] 파소신녀의 마음을 느끼며 선도산을 오르다 - 서악리 삼층석탑, 선도산 성모사, 선도산 정상 적석단
[4편] 땅 속에 묻힌 신물(神物) - 금척리 고분군
# 금척리 고분군
선도산에서 느낀 감동과 사명을 다지며 내려온 우리는 답사의 첫째 날을 마무리할 금척리 고분군으로 이동하였다. 선도산에서의 감동과 체험이 강력하였었는지 이동하는 차 안에서도 내내 그 이야기뿐이었다. 그러던 어느 회원이 정경희 교수(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과)에게 질문을 하였다.
"그런데 선도산이면 보통 신선 선(仙)에 길 도(道)를 쓰지 않나요? 여기는 왜 복숭아 도(桃)를 쓴 건가요?"
"후대 중국 도교의 영향이예요. 각종 도교 전승을 보면 복숭아나무가 불로장생의 상징이죠. 그 의미가 변질이 된 것입니다. "
파소신녀가 중국의 사도로부터 선도 전통을 지켜내기 위하여 경주 서쪽의 선도산에 올랐거늘, 결국 도교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많은 부분이 도교와 습합이 되어버린 우리의 정신과 역사를 생각해보면 다시는 이렇게 우리의 정신을 잃어버려서는 안 되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 금척리 이정표. 고분군은 이정표와 아주 가까이 있었다.
10여 분 차를 달렸을까. '금척리'라고 쓰인 이정표를 찾았다. 그리고 도로변에는 족히 20~30여 기는 되어 보이는 고분들이 즐비하였다. 길을 걷다 가도 천 여년 전의 무덤을 아주 쉽게 만날 수 있고, 이렇게 생활 속 깊숙이 무덤과 친근하게 지내는 곳도 세계에서 경주가 유일하지 않을까.

▲ 금척리 고분군 전경. 허벅지까지 올라올 정도로 길게 자란 풀들을 헤지고 들어가야 설명을 볼 수 있다.
길가에 차를 세우고 금척리 고분군으로 들어갔다. 금척리 고분군은 손질이 잘되어 있는 대릉원이나 계림과 달리 사람의 허벅지까지 길게 자란 풀이 빽빽하게 있었다. 우리는 이를 헤치며 금척리 고분군에 대하여 설명을 한 설명판 앞까지 가야 했다. 이번 경주 선도문화탐방을 오기 전 날씨가 매우 덥다는 일기예보를 보고 반바지를 챙겨온 것이 매우 후회되는 순간이었다.

▲ 금척리 고분군에 대한 설명을 보고 있는 천손문화연구회 회원들
'금척(金尺)'은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가 꿈속의 신령에게 받은 금자로 병든 사람에게 대면 병이 낫고 죽은 사람에게 가져다 대면 살아난다는 신물이다. 금척은 왕위의 표식으로 삼국통일 전후 당나라 사신이 가져가려 하자 이를 빼앗기지 않기 위하여 현재 금척리 고분군 자리에 수십 개의 무덤을 만들어 그 중 한 곳에 파묻어 빼앗기지는 않았지만, 숨겨둔 자리를 잊어버려 결국 금척을 잃어버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금척은 후일 역성혁명을 일으켜 조선왕조를 개창한 태조 이성계가 조선 건국을 정당화하려는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금척은 아마 파소신녀가 북부여에서 내려올 때 가져온 신물이었을 것입니다. 파소신녀는 북부여의 신녀집단 중에서 최고위층의 신녀였으니, 아마도 정통성을 계승하는 신물을 접할 수 있었겠죠. 그렇다고 아픈 사람에게 대면 병이 낫는다? 실제 현상적으로 그렇다기보다는 선도문화가 추구하는, 사람 내면의 밝음을 깨우는 것의 상징이었을 것입니다.
진짜 밝은 빛은 수행을 통하여 사람의 내면에서 나오는 것인데, 사람 내면의 밝은 빛을 추구하는 문화가 사라지고 그 감각을 잊어버리면 어떻겠어요? 눈에 보이는 밝은 빛을 찾게 됩니다. 흉노계통의 김씨 왕족이 금을 좋아하는것도 수행을 하는 선도전통을 잃어버리고 눈에 보이는 밝음을 좋아하는 것이지요.
김씨왕들은 금척(金尺)과 옥적(玉笛)이라는 박씨족 신물을 다른 것으로 대체를 하고자 하였습니다. 당나라에서 달라고 해서 묻어버렸다는 것은 진짜라기보다는 다분히 의도적이죠."

▲ 천년고도 경주의 해가 지고 있다. 금척리 고분군에서 바라본 일몰.
지금 여기 금척리 고분군을 파면 금척을 찾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잠시 해보았다가 곧 접었다. 금척은 사람의 내면의 밝음을 깨워주는 상징적인 존재, 2천 년 전의 신물을 찾기 보다는 이 시대의 금척을 만들어 널리 알리는 것이 이 시대에 태어난 우리의 사명이 아닐까?
어느새 해는 하늘을 붉게 물들이며 뉘엿뉘엿 서쪽으로 넘어가고 있었다.
글,사진. 조채영 기자 chaengi@brainworld.com
✔ 천손문화연구회 경주 선도문화탐방 다섯번째 기획기사 ::
[5편] 빛이 내려온 곳 - 밝바위, 광림대, 탈해왕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