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들과 함께 모여 즐겁게 추석을 보내고 나면 1~2kg씩 체중이 늘어나는 사람이 많다. 며칠 안 되는 명절 동안 왜 이렇게 살찔까?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 이준미 사무관과 최진수 주무관은 "추석 음식은 칼로리 섭취가 평소 2~3배 정도 많아 체중이 늘어나게 된다"고 분석했다. 추석 명절 한 끼에 토란국(1인분)+갈비찜(2점)+생선전(2~3쪽)+호박전(3쪽)+꼬치전(2쪽)+잡채(1/3컵)+삼색나물+김치+과일(2~3쪽)+식혜(1컵) 정도를 먹는다고 하면, 대략 1,200~1,500 kcal가 된다.
한국인 하루 섭취 열량이 2,000kcal 내외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추석 하루 칼로리 섭취량은 평소보다 2배(4,000kcal내외)정도 늘어나는 셈이다. 또 정성들여 준비한 음식이라 버리기 아까워 서로 권하며 과식하기 쉽다. 음주량도 평소보다 늘어 체지방이 쉽게 쌓이고, 체중이 증가한다. 또 추석 음식 준비 등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비만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킨다.
그렇다면 비만에 대한 걱정 없이 추석 연휴을 즐기는 방법은 무엇일까?
보건복지부는 다음과 같이 추석 비만 예방법을 제시했다.
먼저 전, 산적, 꼬치전, 동그랑땡, 부침개 따위 부침요리나 잡채와 같은 고칼로리 음식을 지나치게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추석에 먹는 송편의 소(깨, 팥, 콩 등)는 열량이 높다. 맛있다고 한 개 두 개 계속 집어 먹다가는 체중이 바로 증가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사용하는 기름을 대폭 줄이는 것도 체중 증가를 막는 데 도움된다. 채소를 볶을 때에는 기름 대신 물을 살짝 두르고 익힌다. 어육류는 기름기가 적은 부위를 선택하고 눈에 보이는 껍질과 지방은 제거하고 조리한다.
마지막으로 보건복지부는 추석 연휴 동안 포만감을 일으킬 만큼 먹는 것보다 평소보다는 약간 덜 먹었다는 느낌이 들도록 식사하고 남은 음식이 아까워 일부러 남김없이 먹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 김효정 기자 manacula@brainworl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