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책이나 전자책뿐만 아니라 웹툰을 보는 것도 독서의 범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웹툰 플랫폼 투믹스(대표 김성인)는 웹툰 이용자들이 웹툰을 독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난 19일부터 25일까지 7일간 자사 회원 5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회원들이 웹툰 읽는 것을 독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툰도 독서라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대답한 회원이 83%(426명)에 달했다. 그 이유로는 '문화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대답이 94%(399명)로 가장 많았다.
중복 답변으로 조사한 결과 '읽는 습관을 길러준다'는 대답이 88%(373명)으로 뒤를 이었고, '전 연령이 즐기는 콘텐츠라서'라는 대답과 '종이책 못지않은 몰입도'라는 대답도 각각 76%(322명), 67%(286명)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돈을 투자해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대답도 있었다.
반대로 웹툰을 읽는 것이 독서라고 보기 힘들다는 답변은 17%(85명)로 이 중 '종이책만큼의 몰입도가 없다'는 이유가 95%(81명)로 가장 많았다.
투믹스는 이와 동시에 일주일을 기준으로 웹툰을 읽는 시간을 조사했다. '5분 이상 10분 이내'가 43%(221명)으로 가장 많았고 '10분 이상~30분 이내'가 21%(106명)으로 뒤를 이었다. '5분 이내'로 짧게 본다는 답변이 16%(80명)였고 '30분 이상~1시간 이내'는 11%(56명), '1시간 이상'도 7%(37명)로 나타났다.
이는 투믹스가 지난 4월 발표한 통계 자료 분석 결과와도 같은 맥락이다. 이 결과에서 투믹스는 웹툰이 20대 문화 생활의 대세로 자리잡았음을 발표한 바 있다. 20대 회원 40.3%가 '모바일로 웹툰 보기'를 문화활동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투믹스의 홍보 담당자는 "'읽기 교육가'로 유명한 언어학자 스티븐 크라센도 만화를 보는 것이 '더 깊이 있는 독서로의 교량 역할을 한다'는 등 독서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고 역설했다"라며 "투믹스의 웹툰과 함께 가을 독서를 만끽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투믹스’는 2015년 5월 서비스를 시작한 웹툰 플랫폼이다. 수준 높은 콘텐츠와 실력 있는 작가진을 갖추는 데 집중한 결과, 서비스 8개월 만에 월간 페이지 뷰 1억 건을 돌파한 뒤 매월 성장하고 있다. 현재 600여 개가 넘는 작품을 연재하고 있으며 출판만화도 200여 개의 작품을 서비스 중이다.
글. 정유철 기자 npns@naver.com 사진. 투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