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세환 정맥주사학회장 “뇌 관련 지식을 넘어 올바른 인식과 활용을 제시하는 국제뇌교육학회의 창립 환영”

최세환 정맥주사학회장 “뇌 관련 지식을 넘어 올바른 인식과 활용을 제시하는 국제뇌교육학회의 창립 환영”

[국제뇌교육협회 창립 선포식 및 뇌교육미래포럼] 최세훈 정맥주사학회장 축사

▲ 3월 29일 열린 국제뇌교육학회 창립 선포식 및 뇌교육미래포럼에서 축사를 하는 최세환 정맥주사학회장.(사진= 강만금 기자)

최세환 정맥주사학회장은 29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 일지아트홀에서 열린 ‘국제뇌교육학회 창립 선포식 및 뇌교육미래포럼’에서 축사를 전했다.

최 회장은 “오늘날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적으로 야기되는 많은 문제점들은 건강하지 못하고 잘못된 ‘생각’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뇌에 관한 지식을 넘어, 올바른 인식과 활용에 관한 목적과 방법을 제시하는 국제뇌교육학회의 창립은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학회창립의 의미를 정의했다.

최 회장은 “갈수록 뇌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즈음 우리는 수많은 전자파와 대기오염 등 매순간 몸에 좋지 않은 ‘화살’을 맞고 있다. 건강의 갑옷을 만들고 대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뇌교육은 생명의 기본인 건강관리에서 출발해 결국 사람들의 정신을 차리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라며 "이제 학문이 연구와 실천이 어우러지면서, 세상과 호흡하면서 21세기 인류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해 가야하는 시대이다. 뇌교육은 학문이자 생활"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포럼은 현재 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 교육에 있어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특히 전 세계적으로 미래 교육의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뇌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는 토론의 장으로 기획되었다.

다음은 최 회장의 축사 전문이다.

반갑습니다. 먼저 국제뇌교육학회의 창립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초대 학회장을 맡으신 이승헌 총장님께도 축하를 드립니다.

인간에게 있어 너무도 중요한 ‘뇌’에 관한 지식을 넘어, 올바른 인식과 활용에 관한 목적과 방법을 제시한다는 것은 참으로 훌륭한 일입니다. 본 행사 슬로건에 있는 ‘지구경영’이라는 단어에 뇌교육의 가치가 잘 담겨 있다고 봅니다.

우리 뇌는 훈련을 통해 생존을 위한 욕구에서 모두를 이롭게 하는 욕구를 추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업그레이드 하게 되어 있으며, 이것이 바로 뇌교육이고 브레인트레이닝입니다.

주변과 평화롭고 조화롭게 사는 것이 우리의 본성입니다. 이러한 본성에 따라 모두를 이롭게 하는 욕구, 이타적인 욕구를 추구할 때 뇌에서는 세토토닌과 같은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우리가 흔히 ‘정신 차려야 산다’고 하는데, ‘차리다’의 의미는 제자리에 놓는다는 뜻입니다. 모든 것이 본래의 자리에 있을 때 심신이 조화롭게 됩니다. 정신을 차리려면 집중해야 하는데, 집중할 때 인간의 자연치유력을 포함한 모든 힘이 극대화되고 능률이 높아집니다. 뇌기능이 향상되는 것입니다.

갈수록 뇌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요즈음 우리는 수많은 전자파와 대기오염 등 매순간 몸에 좋지 않은 ‘화살’을 맞고 있습니다.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수없이 많은 자극적이고 부정적인 정보도 동일한 작용을 합니다.

건강의 갑옷을 만들고 대비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생명의 기본인 건강관리에서 출발해 결국 사람들의 정신을 차리게 하는 것이 뇌교육의 목표이자, 브레인트레이너들의 자세일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긍정 마인드 입니다.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약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우리 안에 있는 천연약 입니다. 자연치유력이라 부르는 기능이 우리 몸속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긍정 마인드를 충분히 발휘하게 하는 것이 진짜 의학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습니다.

이제는 학문이 상아탑에 갇혀 있어서는 안 되는 시대입니다. 연구와 실천이 어우러지면서, 세상과 호흡하면서 21세기 인류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해 가야하는 시대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시점에 국제뇌교육학회가 창립되었다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하겠습니다. 뇌교육은 학문이자, 생활이기 때문입니다.

21세기에 우리를 만드는 것은 우리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런 논리에 입각해보면 국제뇌교육학회 창립은 이러한 가치를 추구하고 만들어가는 첫 발자국입니다.

마지막으로 영국의 소설가이며 극작가인 찰스 디킨즈의 말을 인용하겠습니다. 생각은 곧 말이 되고 말은 행동이 되며, 행동은 습관으로 굳어지고 습관은 성격이 되어 결국 운명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오늘날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적으로 야기되는 많은 문제점들은 건강하지 못하며 잘못된 생각에서 시작될 수 있다고 유추해 봅니다.

이러한 면에서 국제뇌교육학회의 창립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집니다.
국제뇌교육학회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리 강현주 기자  heonjukk@naver.com  / 사진. 강만금 기자 sierra_leon@live.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