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고혈압의 날' 우리나라 국민의 고혈압 관리 지수는?

'세계 고혈압의 날' 우리나라 국민의 고혈압 관리 지수는?

질병관리본부 5월 17일 '세계 고혈압의 날' 맞아 고혈압 관리 지수 발표

질병관리본부는 5월 17일 '세계 고혈압의 날'을 맞아 국민들의 고혈압 예방과 관리 실태 현황을 발표했다.

고혈압은 우리나라 성인(만30세 이상) 10명 중 3명에게 나타나는 흔한 질환으로, 고혈압 유병자(2013년 기준)는 약 9백만 명에 달한다.

하지만 고혈압 환자 3명 중 1명은 자신이 고혈압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10명 중 4명은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 만 30세 이상 성인의 연령별 고혈압 관리현황(질변관리본부 제공)

특히 30~40대 고혈압 환자 3명 중 2명은 고혈압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30대 남자 10명 중 9명은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30대~40대 성인 남성의 건강생활 실천률(금연, 절주, 낮은 나트륨 섭취 등)은 타 연령 대비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매일 또는 가끔 담배를 피우는 30대 남성은 54.5%, 40대 남성은 48%로 전체 연령대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술을 주 2회, 5~7잔 이상 마시는 사람 역시 30대 남성이 23.7%, 40대 남성이 25.9%로 나타나 타 연령대비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혈압을 높이는 주요 요인인 나트륨섭취율은 30대 남성이 93.5%, 40대 남성이 93.7%로 높게 나타났다.

고혈압은 다른 질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단이 간편하고, 치료 및 관리가 용이하지만, 별다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질환의 중요성 및 심각성을 간과하기 쉽다.

하지만 고혈압은 심혈관계 질환의 가장 흔하고 강력한 위험인자로 관리하지 않으면 뇌졸중, 심근경색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정기적인 혈압측정을 통해 수치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압 환자의 95%가 운동부족, 비만, 스트레스, 흡연, 과도한 음주, 짜게 먹는 습관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추정되고 있어 생활 습관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 >

① 담배는 반드시 끊습니다.
②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입니다.
③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④ 가능한 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⑤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⑥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⑦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합니다.
⑧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⑨ 뇌졸중, 심근경색증의 응급 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에 갑니다.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