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특정부위에 부피에 따라 치매 약물 반응도 달라

뇌 특정부위에 부피에 따라 치매 약물 반응도 달라

알츠하이머와 같은 치매 치료에 따른 약물 반응이 뇌의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부산대병원(원장 이창훈) 정신건강의학과 이영민 교수팀은 조가비핵(putamen), 해마옆이랑, 편도 등의 뇌 부위의 부피에 따라 약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치매환자는 망상, 환각 등의 정신병적 증상의 약물을 투여한 뒤 뇌 반응을 측정한 결과,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부피가 클수록 치매의 정신병적 증상에 반응이 좋았다. 해마옆이랑은 공간기억을 편도는 사건기억을 담당하는 부위이다.

▲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조가비핵, 해마옆이랑, 편도)의 부피에 따라 약물 반응이 달랐다. (사진=부산대병원 제공)

이번 연구는 뇌 특정 부분의 부피를 통해 치매의 약물 반응을 예측해, 치매 증상의 기전과 예방 및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영민 교수는 "망각, 환각 등에 작용하는 뇌 특정부위 부피를 보고 선택적으로 약물을 투약할 수 있고, 관련 치료약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정신과학회지인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에 게재됐다.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뉴스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