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뇌교육협회 지속가능성보고서 발행, 인간 내적역량계발

국제뇌교육협회 지속가능성보고서 발행, 인간 내적역량계발

‘인간 내적 역량 계발을 통한 휴머니티의 회복’ 슬로건

‘인간 내적 역량 계발을 통한 휴머니티의 회복’ 슬로건, 3번째 뇌교육 국제공적문서

▲ 국제뇌교육협회 지속가능성보고서 표지

(사)국제뇌교육협회(회장 이승헌)은 지난 2년간의 뇌교육의 국제적 활동과 성과를 담아 ‘국제뇌교육협회 지속가능성보고서 2019’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2014년 유엔글로벌콤팩트 참여보고서, 2016년 첫 지속가능성보고서에 이은 3번째 뇌교육 국제공적문서.

국제뇌교육협회는 인류 미래의 키워드인 ‘뇌’의 올바른 이해와 활용의 가치를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해 이승헌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총장이 2004년 한국에 설립한 비영리국제단체로 2009년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가입, 2010년 유엔공보국(UN-DPI) 정식지위 NGO 승인을 받았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및 인공지능의 대두에 따른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과 인간 고유기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흐름을 반영하여, 뇌교육 지속가능성보고서 슬로건으로 ‘인간 내적 역량 계발을 통한 휴머니티의 회복’을 제시하며 지난 2년간의 국제 활동과 성과를 조망했다.

▲ 유엔글로벌콤팩트 공식 웹사이트에 등록된 국제뇌교육협회 지속가능성보고서

보고서에서 "뇌교육은 몸과 뇌의 상호 관계 속에서 신체적 자신감, 감정 조절 향상을 바탕으로 의식의 확장성을 이끌어내는 체험적 훈련을 통해, 뇌를 움직이는 열쇠인 '정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이른바 '정보처리기술'이자 인간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과정 혹은 방법이라는 교육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휴먼테크놀로지“라고 소개하고 있다.

보고서는 △지속가능발전과 뇌교육 △인간 내적역량 계발을 위한 글로벌 액션 △국가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및 파트너십 모델 발굴 △뇌교육 표준화를 위한 협력체제 구축 △운영의 지속가능성 등 국내외 뇌교육의 글로벌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이승헌 국제뇌교육협회장은 “물질과 정신의 만남, 모든 것이 연결된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 등 지금 인류는 이제껏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대를 만나고 있다”며, “오늘날의 인류 문명이 인간 뇌의 창조성 에서 비롯되었듯이, 인류의 정신적 가치 하락과 지구 생태계 위협이라는 당면 위기를 해결할 열쇠 또한 인간 뇌 속에 답이 있다는 인식으로 평화적인 뇌를 만드는 뇌교육을 인간 내적 역량 계발을 이끄는 새로운 인적자원 방법으로서 국제사회에 알리고자 한다”고 발행목적을 제시했다.

한편, 이번 뇌교육 지속가능성보고서는 유엔 산하 지속가능성보고서 국제기준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가이드라인을 시민사회단체의 특징에 맞춰 구성한 ‘NPO 지속가능성보고 가이드라인’에 따라 106쪽 분량으로 제작되었으며, 유엔글로벌콤팩트 참여보고서를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국제뇌교육협회 2019 지속가능성보고서는 국제뇌교육협회 홈페이지(www.ibrea.org)와 유엔글로벌콤팩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글. 브레인 편집부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