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9명은 평소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명 중 4명꼴로 평소 많이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사회의 사회 심리적 불안의 원인분석과 대응방안' 보고서(이상영 선임연구원외)에 따르면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평소 스트레스 정도를 조사한 결과, 많이 느끼는 편이 34.7%, 매우 많이 느끼는 편이 3.2%로 나왔다.
스트레스 체감…남자 > 여자, 고소득자 > 저소득자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또는 매우 많이 느끼는 성인이 37.9%로 10명 중 4명꼴인 셈이다. 조금 느끼는 편이라고 응답한 성인은 56.2%였다. 전체적으로 90% 이상의 성인이 평소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거의 느끼지 않는다고 대답한 성인은 5.9%에 불과했다.
성별로는 여자보다는 남자가 평소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가 더 심했다.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또는 매우 많이 느낀다는 응답비율이 여자는 각각 29.4%와 2.6%였지만, 남자는 40.0%와 3.8%로 훨씬 높았다.
혼인상태, 맞벌이 여부로 살펴보면, 미혼자가 결혼해서 배우자가 있는 성인보다, 맞벌이가 맞벌이하지 않는 경우보다 평소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더 강했다.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편이 미혼은 37.2%, 유배우자는 34.3%이고, 매우 많이 느끼는 편이 미혼은 4.5%, 유배우자는 2.7%로 유배우자가 미혼보다 평소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약했다.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또는 매우 많이 느낀다는 응답이 맞벌이는 42.9%와 3.5%에 달했지만, 맞벌이하지 않는 성인은 28.1%와 2.2%에 머물렀다.
근무형태별로는 평소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느낀다는 비율이 정규직은 3.5%, 자영업은 3.1%인데, 임시직은 6.0%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월 소득 수준별로는 고소득자가 저소득자보다 오히려 더 스트레스를 겪는 것으로 나왔다.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또는 매우 많이 느낀다는 응답이 월 200만 원 미만은 24.6%와 3.2%에 그쳤지만, 월 600만 원 이상은 33.5%와 4.4%, 월 400만~600만 원 미만은 38.3%와 3.3%에 이를 정도로 높았다.
연구원 관계자는 "스트레스를 많이 또는 매우 많이 느낀다는 성인이 약 40%에 이른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성인들이 취업준비나 직장과 가정 내 갈등 등으로 정신적 압박을 자주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진은 19세 이상 성인 7천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8일~9월 22일 개별 방문면접 조사를 했다.
휴식과 명상으로 치유해야
.jpg&filepath=BrainHealth)
그렇다면 스트레스는 우리 몸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다줄까? 먼저 활성산소가 증가한다. 활성산소가 몸 안에 세포를 공격해서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면역력이 저하로 외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공격에 쉽게 병이 생긴다. 불안이나 우울, 불면, 신체증상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주목되는 것은 한국과 외국의 차이다. 외국은 직무내용과 성과 등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데 반해 한국은 상사와의 갈등관계, 집단주의 조직문화 등이 많다. 해도 잘 안 되는 것이 ‘인간관계’라는 점에서 한국인의 스트레스 지수가 높다는 점이다.
강도형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교수가 꼽는 ‘스트레스 관리’는 5가지다. 휴식, 공감, 칭찬, 운동, 몰입이 그것이다. 특히 휴식과 운동, 몰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명상의 효과는 스트레스를 떨어뜨리고 도파민이 올라간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국내 대표 힐링전문사이트인 체인지TV(http://www.changetv.kr)에서 무료로 도움을 받을 수가 있다.
글. 윤한주 기자 kaebin@lyco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