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이 목디스크 불러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이 목디스크 불러

목디스크 평소 조금만 관리해도 막을 수 있어

최근 방송인 정준하 씨가 공연도중 목 부상으로 목디스크 수술받은 소식이 알려지면서 목디스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목디스크 환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8.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자료를 보면 2007년 57만 3,912명에서 2011년 78만 4,131명으로 늘었다.

여성이 45만 3,040명으로 남성(33만 1,091명)에 비해 1.4배 많았다. 특히 2008년, 2009년, 2010년에는 각각 전년대비 5.0%, 8.3%, 7.0% 증가하였으나, 2011년에는 전년대비 12.3% 증가해 다른 해에 비해 증가폭이 컸다. 또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20대 남성으로 연평균 7.7% 증가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20대 여성이 7.6%, 80세 이상 여성이 6.9%, 30대 남성이 6.8% 증가하였다.

이는 2010년경부터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목디스크 환자 증가율이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외과 장호열 교수는 “젊은 연령층일수록 더 많이 보급되고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는데 스마트폰 사용 시 장시간 고개를 숙인 자세는 경추간판에 무리를 주어 결국 경추부 동통, 목 디스크를 일으키는 요소가 된다"고 밝혔다.

목디스크는 목뼈 사이에 쿠션 역할을 하는 물렁뼈(디스크)가 손상되어 신경근 또는 척수를 누르는 질환이다. 뒷목, 어깨 상부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어깨와 팔의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척수에 손상을 줘서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마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목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다. 바른 자세는 어깨를 바로 펴고, 턱을 뒤로 당겨 머리의 무게 중심이 몸통 위로 두게 하는 것이다. 가장 쉬운 방법은 귀와 어깨의 중심선이 일치하는 것이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하다 틈틈히 좌우로 고개를 돌려주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목디스크 예방에 도움이 되는 뇌체조(어깨 잡고 좌우로 목 돌리기)를 소개한다.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 l  참고. 브레인up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