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원인인 '피지선 모반 증후군' 발병 과정 첫 규명

한국뇌연구원 라종철•POSTECH 백승태 공동연구팀 발표, 새 치료법 개발 기대

한국뇌연구원(KBRI, 원장 서판길)은 감각·운동시스템 연구그룹 라종철 책임연구원과 포항공과대학교 백승태 교수가 마우스 모델을 활용한 공동연구를 통해 뇌전증 발병 원인의 하나인 선상 피지선 모반 증후군의 신경병리적 발병기전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 한국뇌연구원 김용석 학생연구원(좌), 라종철 책임연구원(우)


피지선 모반 증후군(Linear nevus sebaceous syndrome, LNSS)은 피지를 분비하는 피지선에 이상이 생겨 피부에 모래알갱이처럼 작은 염증이 오돌토돌 나는 병이다.

희귀신경질환인 선상 피지선 모반 증후군은 피부 병변이나 골격이상 등 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한 질병도 일으키지만, 뇌전증, 발달장애 등 난치성 뇌질환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자세한 신경병리학적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공동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을 활용하여 뇌 안에서 신경세포의 비정상적 성장과 함께 전기적 신호의 흥분-억제 불균형이 선상 피지선 모반 증후군에 의한 뇌전증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연구팀은 성장 중인 쥐의 뇌에 신경세포에 증후군과 관련된 단백질 돌연변이 유전자(KRASG12V)를 넣은 결과, 뇌 대뇌피질의 기저부에 있는 신경세포가 정상적으로 바깥 방향으로 발생하지 못하고 기저부에만 모여 있는 피질 하에 결절성 이소증이 생기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돌연변이 유전자를 주입한 흥분성 신경세포는 정상보다 과하게 흥분하고 억제성 신경세포는 정상보다 낮게 활성을 띠면서, 신경의 흥분-억제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는 등 뇌전증을 일으키는 피지선 모반 증후군의 병리학적 징후를 발견하였다.

교신저자인 백승태 교수는 “피지선 모반 증후군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병인 돌연변이 단백질 제어를 통해, 일부 신경 발달 결함을 회복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밝혔으며,

공동 교신저자인 라종철 책임연구원도 “피지선 모반 증후군에서 보이는 뇌전증, 이소증 및 국소피질이형증 등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의 치료제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가 향후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DGIST-한국뇌연구원 학연프로그램을 통해 김용석 학생연구원과 함께 포항공대 김예은 학생이 1저자로 참여했으며, 국제 학술지 ‘셀(Cell)’의 온라인 자매지인 ‘셀 리포트(Cell Reports, IF: 9.995)’ 1월 14일자에 게재되었다.

글. 우정남 기자 insight1592@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