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filepath=RecommendedBook)
마틴 셀리그만을 잇는 긍정심리학의 차세대 주자, 소냐 류보머스키 교수가 500여개의 행복에 관한 최고의 실험 결과를 집약해서 소개했다. 우리 모두는 연애와 결혼, 직업과 부, 노화 등 우리는 어른이 되면서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위기의 순간을 맞는다. 수많은 과학적 반박에도 불구하고 쉽게 사라지지 않는 행복을 둘러싼 오래된 신화들이 있다. 결혼해서 자녀를 가지고, 좋은 직업과 부를 얻는다면 정말로 행복해질 것이라는 믿는다. 그 반대편에는 건강을 잃고, 파경을 맞고, 돈이 없이는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는 신화가 짝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서 행복은 의지와 노력만으로 안되는 과학적인 영역이 있다고 한다. 첫째, 목표를 성취할 방법에 관한 책과 전문가들이 많지만 현대 과학은 목표를 이루는 방법 못지않게 어떤 목표를 선택하느냐가 성공과 행복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밝혀냈다. 지금 생각하는 목표가 당신 내면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가족이나 사회가 당신에게 강제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니 성급하게 달려들기보다, 먼저 나에게 맞는 목표는 어떤 것인지, 그 목표가 추구할 가치가 있는지를 알아보아야 한다.
둘째 꿈을 좇으라고 말하는 모든 책이 목표의 추구보다는 목표의 달성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는 독자들이 가장 원하는 것이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라는 가정이 깔려 있다. 그런데 부와 성공을 손에 쥐고도 우울증을 겪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게다가 개인의 성공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우연적 요인도 많이 개입하기 때문에 그대로 따라 해도 전혀 다른 상황을 맞을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
많은 연구 결과들이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 자체에서 행복감을 맛보는 것이 성취를 향한 동기를 높이고, 예기치 않은 장애를 만났을 때도 이를 돌파하거나 유연하게 우회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줌을 보여주고 있다. 마치 뉴욕 여행자들이 정작 여행 중보다는 여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더 큰 행복을 맛보듯이, 방법과 과정이 성공 자체의 가치와 행복을 크게 좌우할 수도 있다.
글. 이수연기자 brains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