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국학기공 실행연구

중학생 국학기공 실행연구

브레인스포츠

브레인 80호
2020년 07월 16일 (목) 10:25
조회수2051
인쇄 링크복사 작게 크게
복사되었습니다.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전경

논문주제
<중학생의  교육을 위한 국학기공 실행연구(Action Research on Kookhak-kigo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대학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과

논문요약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학기공 방과 후 수업에 관한 실행연구로서, 몸과 마음의 통합적 접근인 ‘ 교육’을 통해 중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몸의 감각에 기반을 둔 몸 움직임 교육활동인 국학기공 수업을 통해 몸에 대한 관심과 몸을 느끼는 감각을 회복하고, 체화(體化)된 몸 감각을 확장하는 일련의 과정인 ‘몸 감각 깨우기’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심신통합적 의미를 담은 ‘'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한 ‘몸 감각 깨우기’는 교사의 선체험(先體驗)과 그것에 대한 전수를 바탕으로 하며, 학생들은 국학기공 수업을 통해 그동안 무의식적으로 움직여왔던 몸을 새롭게 인식하고(몸에 대한 관심 갖기), 지금 현재 느껴지는 몸의 감각에 의존해서(몸 감각 회복하기) 의식적으로 몸을 움직이는 과정(몸 감각 깨우기)을 경험한다. 또한, 학생들은 평소 의식하지 못했던 몸 습관과 국학기공 동작을 하면서 느낀 몸 감각과의 차이를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에 대한 성찰자적 시각을 견지해나간다.

그 결과 학생들의 몸 느낌의 체화와 체험의 창조적 재현을 통한 ‘느낌의 확장’, 교사로부터의 체험의 전수와 타자(동료 학생, 관객)과의 연결을 통한 ‘경계의 확장’에서 국학기공 실행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의식의 집중, 동작, 호흡을 통해 몸과 마음의 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수련법인 국학기공은 몸 움직임에 마음을 집중하는 반복적 과정을 통해 체화된 지식을 획득하는 교육 활동으로,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에 대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정리. 김지인 국제뇌교육협회 국제협력팀장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