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 '아름다운 순간'

신년기획 '아름다운 순간'

12월13일~2월19일 대전시립미술관 전시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아름다움의 이상은 무엇인가, 아름다움은 구원에 이룰 수 있는가. 연말연시 잠시 일상을 떠나 아름다움에 관해 사색해보면 어떨까. 아름다움을 주제로 한 전시회로 가보자.

 대전시립미술관(관장 이상봉)은 2017년 새로운 한해를 시작하기 위한 현대미술 신년기획 '아름다운 순간'전을  12월 13일부터 내년 2월 19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아름다움의 추구와 아름다움의 과잉소비에 관한 작가 8명의 생각을 담았다. 순간의 인생을 살고 있는 현대인 모두가 삶과 죽음 사이에 미묘하게 흔들리는 '아름다운 순간'을 놓치며 살아간다. 현대인의 이런 모습을 미술이라는 창을 통해 생각해 보자는 의도에서 기획하였다. 

▲ 양민하,TheHiddenSide 이면(裏面), 2016-1

 전시의 첫 번째 장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는 아름다움을 인식하는 인간의 시각과 감정은 과연 믿을 만한 것인가? 라는 물음으로 시작한다. 

작가 양민하(미디어)는 구글 이미지 검색을 통한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기계의 건조한 시선으로 인식한 행복과 아름다움이 정렬되어 있을 때, 그리고 순차적으로 왜곡하여 보여줄 때 이를 인간이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지 확인하고 싶어 한다.

▲ 김세일,BLUE153.

조각가 김세일(조각)은 깨지고 부서지기 쉬운 석분 점토, 철선으로 만질 수 없고 닿을 수  없는 구조와 흐름, 공간과 매스를 보여준 '불가촉' 연작 등 떠오르는 이미지나 생각을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형상화하는 데 능숙한 솜씨를 보이는 작가이다. 김세일 조각에서 아름다운 순간은 조각가로서 '내가 되려는 순간'의 흔적이자 끊임없이 미완성인 채로 존재한다. 

두 번째 장 "아름다움의 이상은 무엇인가?"는 회화와 사진이 부여하는 아름다움의 속성과 개별적 체험속에 자신이 추구해왔던 아름다움의 이상은 무엇인가를 묻는다. 끊임 없이 소비되고 분화되는 현대미술의 진화 속에서 작가는 무엇을 그리고, 미의 이상을 추구하는지에 관한 물음을 담았다. 

▲ 권여현,08-200-Orpheus foresta02-Orpheus forest 152x243cm

작가 권여현(회화)은 과거와 현재, 신화와 대중문화, 고귀한 것과 일상적인 것을 혼용하여 닥치는 대로 꼴라쥬한다. 동서양이 혼합된 이런 이미지들은 숲을 통하여 그 모호성과 기괴함을 담아내는 장소가 될 뿐만 아니라 규정하기 힘든 여러 상황이 쉽게 교환된다.

▲ 윤종석, That day (20150116) 130x162 acrylic on canvas 2015.

작가 윤종석(회화)은 아름다운 순간을 경험하는 것은 사적인 것이고 주변 사람의 죽음이 계기가 되어 인식하는 '산다는 것'의 의미를 작품으로 기록한다. 사적이고 사소한 일련의 기억을 기록하고 생각하는 것, 그것 또한 아름답다고 말한다.

▲ 백한승,Hanseung BAIK, SODA#402202, Gelatin Silver Print, 101x150cm, 2008.

작가 백한승(사진)에게 아름다운 순간은 내가 개입되어 만든 염원의 체계 곧 감정이 이입된 아름다움이다. 백한승은 사진이 갖는 본질적 요소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우리가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사태(situation)의 한 조각(fragment)일 뿐"이라고 말한다.

▲ 복진오,청년기의 로망,30x30x60,스테인레스, 2013.

조각가 복진오(조각)는 기억 상상력 그리고 아름다움이라는 표제 속에 금속판을 가늘고 길게 잘라 선을 만들고 구조물을 엮어서 형상을 만든다. 마치 데생을 하는 것처럼 손끝의 궤적이 만들어 내는 공간에 입체 드로잉처럼 작품을 만든다. 어린 시절 아이스크림 막대를 모아 엮어가며 부채, 비행기, 부메랑 등을 만들며 즐거워하던 기억을 바탕으로 유년기의 기억과 상상력, 아름다움이 재현된 새로운 창조의 공간이 아름다운 순간이 된다.

 세 번째 장 "아름다움은 구원에 이를 수 있는가"는 한 조각 빵을 얻기 위한 자유와 아름다움은 현실에서 화해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물음이다. 자극과 관심, 신경증적 강박이 지배한다는 현대미술에서 예술이 자유는 실현될 수 있는가를 묻는다.

 차이밍량(영화)의 'Beautiful 2012, Walker'는 중국의 인터넷TV 유쿠가 ‘무엇이 아름다운가’라는 주제로 제작한 옴니버스 영화로 4명의 아시아 감독(김태용, 차이밍량, 구창웨이, 허안화)이 각각 연출을 맡았다. 삶과 죽음, 행복과 불행 사이에서 아름다움이라는 가치에 관해 차이밍량의 'Walker'는 아름다움을 하나의 거대한 캔버스에 그려내듯 이미지로 표현했다. 홍콩이라는 도시의 빠른 리듬과 그날 먹을 양식을 사서 돌아가는 승려의 느린 걸음을 대비하여 삶과 아름다움에 관한 문구를 새삼 환기한다. 

▲ 이민혁, 대한민국은 자살 천국입니다.162.2x130.3cm Acrylic on canvas 2010-2011.

작가 이민혁(회화)은 아름다운 풍경 뒤에 끔찍한 현실이 있는데도 우리 모두 아무렇지도 않게 살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삶과 죽음 사이의 아름다움, 생의 아름다움을 말하는 이민혁은 이러한 절망 속에 가장 빛나는 순간을 떠올리며 아름다움의 진실과 정의를 이야기한다.

▲ 이민혁, 대한민국은 자살 천국입니다.162.2x130.3cm Acrylic on canvas 2010-2011.

이상봉 대전시립미술관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미술은 그 무엇으로도 대체될 수 없는 아름다운 순간들을 재현하는 힘이 있으며,  이번 전시에서 '아름다운 순간'이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를 감지하고, 나아가 현대미술의 변용과 확장을 미학적으로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전시개요
  ㅇ 전시명 : 현대미술 신년기획전『아름다운 순간』
  ㅇ 전시기간 : 2016. 12. 13(화) ~ 2017. 2. 19.(일)
  ㅇ 장  소 : 대전시립미술관 1~3전시실

  ㅇ 전시작품 : 총 64점(회화 36점 / 사진, 미디어 15점 / 조각 13점)


글. 정유철 기자 npns@naver.com   사진. 대전시립미술관.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